동네 슈퍼에 가면 아이들과 부모들의 버릇없는 모습을 종종 본다.
냉장고 위에 신발을 신고 올라가려고 하고 아이스크림도 계산도 전에
뜯어서 먹는다. 남자아이 네 명을 키우는 엄마의 모습은 전쟁 같다.
그런데 왜 가르치지 않는지 그것이 문제다.
뛰어다니기, 물건 마구 던지고 건드리기, 아무에게나 밀치기 등
이런 자녀 키우는 부모는 자신의 아이들이 먹는 것에만 신경 쓰는가.
버릇없는 아이는 행복하지 않다. 그의 가족도 마찬가지다.
아이가 원하는 모든 것을 받고 제한없이 자랄 때,
그는 좌절감이나 탄력성에 대한 관용과 같은
중요한 삶의 기술을 개발할 수 없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이러한 감정이 나타날 때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 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아이들은 또한 만족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알지 못할 것이며
삶의 성공에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 된
두 가지 기술인 가난한 자기 통제력을 가질 것이다.
차례로, 그들은 낮은 감성 지능을 가질 것이므로,
그들이 자랄 때 개인 및 직업 영역 모두에서
수많은 대인 관계 갈등에 직면 할 가능성이 더 크다.
가족도 고통을 겪는다.
버릇없는 아이를 다루는 것은 그의 요구가 증가하고
의무는 감소하기 때문에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그래서 부모는 결국 마음대로 명령하고 처분하는 폭군의 대상이 된다.
이 시나리오에서, 가족의 균형은
그 구성원을위한 발전하는 원천이되는 것을 멈추고
기능 장애가 있는 가족이 되는 시점까지 간다.
버릇없는 아이를 다룰 때,이 자기 중심적이고 미성숙한 행동은
일반적으로 일관되고 연령에 적합한 제한을 부과 할 수있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부모와 성인의 무능력의 결과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버릇없는 아이들의 부모와 관련된 행동은 일반적으로 심리적 문제로 인한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 대한 "정상적"이지만 부적응 반응이다.
다른 말로하면,
버릇없는 아이는 자신을 넘치게하는 상황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거나
올바른 행동 규칙을 습득하지 못했다.
마이애미 대학에서 개발 된 매우 흥미로운 연구에 따르면
프랑스와 미국의 미취학 아동의 행동이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들이 놀 때, 프랑스 아이들은 동료들과 공격적으로 1 %의 시간 만 보냈지만
반대로 미국 아이들은 29 %의 공격적이었다.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차이가 다른 양육 관행 때문이라고 확신했다.
계속 방관하고 멋대로 키우면 버릇없는 아이는 버릇없는 어른되고
남에게 피해가 가는 행동을 서슴없이 하는 일들이 비일비재할 것이다.
왜 이런 문제가 자신들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가 되는지 상상하지 않는가.
수퍼에서 만난 짜증이 나는 버릇없는 아이들
어슬렁거리면서 피해를 주는데도 저들의 엄마는 모른 척 한다.
당신의 자녀는 지금 어떤 모습일까. 한 번 생각해 보자.
A spoiled child is not happy. His family neither. When a child receives everything
he wants and grows without limits, he will not be able to develop important life skills
such as tolerance to frustration or resilience. As a result,
he will not know how to deal with these emotions when they appear,
which increases the chances of suffering emotion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t an early age.
These children will also not know how to delay gratifications
and will have poor self-control, two skills that have been proven essential for success in life.
In turn, they will have low Emotional Intelligence, so they are more likely to face
numerous interpersonal conflicts, both in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areas, when they grow up.
The family also suffers. Dealing with a spoiled child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icated because his demands are increasing, while obligations decrease,
so that parents end up becoming subjects of a tyrant who orders and disposes at will.
In this scenario, the family’s balance is broken, to the point that it ceases
to be a developing source for its members and becomes a dysfunctional family.
Dealing with a spoiled chil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is egocentric
and immature behavior is usually the result of the inability of parents and adults
in a general sense to impose consistent and age-appropriate limits.
Behaviors that concern parents of spoiled children are not usually due to
psychological problems, they are a “normal” but maladaptive reaction to certain situations.
In other words: the spoiled child has not learned to react adequately to situations that
overflow him or has not acquired the correct rules of behavior.
A very interesting study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Miami revealed that
the behavior of French and American preschool children differs.
When they play, French children are aggressive with their peers only 1% of the time but American children,
on the contrary, were aggressive 29% of the time. Psychologists are convinced
that these differences are due to different parenting practices.
Research has consistently shown that the difficult behavior of children is usually
the result of inadequate adult care. In a study conducted several years ago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attention on a spoiled child
who used to respond with cries and tantrums.
Every time that child cried, an adult came to offer him comfort.
Psychologists asked the adults that, if the child was well
and in no danger, they would not come immediately when he had a tantrum or cried.
After five days, the boy went from having an average of 7 episodes of tantrums
and cries a day to almost zero. Interestingly, when adults returned to pay attention
to his maladaptive behaviors, tantrums and crying worsened.
That same pattern has been observed in school-age children.
In other experim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psychologists noted that some students repeatedly left their seats without good reason.
The usual thing was for the teacher to interrupt the lesson to reprimand them.
However, these efforts often increased the frequency of the bad behavior.
When the teacher ignored children who wandered and paid attention to those
who were concentrated in class, the frequency of that behavior used to decrease dramatically.
甘やかされた子供は幸せではありません。彼の家族もそうではありません。
子供が欲しいものをすべて受け取り、制限なく成長すると、
欲求不満に対する耐性や回復力などの重要なライフスキルを発達させることができません。
その結果、彼はこれらの感情が現れたときにどのように対処するかを知らず、
幼い頃にうつ病などの感情障害に苦しむ可能性を高めます。
これらの子供たちはまた、満足を遅らせる方法を知らず、
人生での成功に不可欠であることが証明されている2つのスキルである自制心が乏しいでしょう。
次に、彼らは感情的な知性が低いので、彼らが成長したときに、
個人的および職業的領域の両方で、多数の対人関係の葛藤に直面する可能性が高くなります。
家族も苦しんでいます。甘やかされた子供を扱うことは、
彼の要求が増加しているため、ますます複雑になり、義務は減少し、
両親は意のままに命令して処分する暴君の対象になります。
このシナリオでは、家族のバランスが崩れ、
メンバーの発達源ではなくなり、機能不全の家族になります。
甘やかされて育った子供を扱うことは、この自己中心的で未熟な行動は、
通常、一般的な意味での親と大人が一貫した年齢に適した制限を課すことができないことの
結果であることを理解することが重要です。
甘やかされた子供の両親に関係する行動は、
通常、心理的な問題によるものではなく、
特定の状況に対する「正常」だが不適応な反応である。
言い換えれば、甘やかされた子供は、彼を溢れさせる状況に適切に反応することを
学んでいないか、正しい行動規則を獲得していません。
マイアミ大学で開発された非常に興味深い研究は、
フランスとアメリカの就学前の子供たちの行動が異なることを明らかにしました。
彼らが遊ぶとき、フランスの子供たちは彼らの仲間の時間に対して攻撃的で
ある時間はわずか1%ですが、アメリカの子供たちは逆に29%の時間攻撃的でした。
心理学者は、これらの違いが異なる子育ての実践によるものであると確信しています。
'All over of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교회나 성당에 나가는가. (11) | 2022.08.19 |
---|---|
과학 예술 갤러리 (13) | 2022.08.18 |
아일랜드 고고학 박물관 골드 (14) | 2022.08.16 |
비누 방울 아트 (13) | 2022.08.15 |
힘없는 나라의 결말 (18)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