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청은 1972년 9월 26일 대통령령 제4호를 통해 쌀, 옥수수, 사료용 곡물 및 수수, 녹콩, 땅콩과 같은 곡물들을 포함하는 곡물 산업의 통합적 성장과 발전을 촉진한다는 사명으로 국가 곡물 당국(NGA)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 법령은 쌀과 옥수수 이사회(RICOB)와 쌀과 옥수수 관리(RCA)의 두 기관을 폐지하고 각각의 기능을 NFA에 흡수하였다. 그 후 전자는 쌀과 옥수수 소매 거래를 규제하고 있었고 목표일 내에 그것을 국유화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후자는 특히 가난한 기간 동안 정부의 저가의 쌀을 시판하고 배급했다. 또한, 새로운 기관은 수확 후 시스템과 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들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NGA는 쌀 자급자족에 맞춘 마사가나의 99년 프로그램으로 불리는 정부의 논 생산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정부 지원가격으로 대규모 논조달을 실시하였고, 물량이 한정되어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쌀 수출국가에 가입하였다.
1981년 1월 14일, 대통령령 제1770호는 NGA를 개칭하고 국가 식품 당국(NFA)을 설립하여, 곡물 외에 생과일과 야채, 어류 및 수산, 가공 또는 포장 식품 p와 같은 기타 식품 품목을 포함하도록 기관의 사회적 책임과 상품 범위를 더욱 확대하였다.로딩, 그리고 이것들은 비곡물 상품이라고 총칭되었다. 이 법은 카디와 상점이나 정부 소매점의 기반이었는데, 이 상점은 수도권의 내와 필리핀의 모든 지방에 설립된 저가의 기본 식품과 가정 용품을 판매했다.
1985년 5월 31일, 행정명령 1028호는 NFA의 비곡류 마케팅 활동의 규제완화, 특히 NFA의 비곡류 거래 활동 종료, 사료 곡물 및 밀 수입을 민간 부문에 반환, 쌀과 옥수수에 대한 가격 통제를 해제하도록 규정하였다. 이와 같이 1986년 말, 모든 카디와 상점은 팔거나 문을 닫았다.
오늘날, 국가 식량 당국은 국가의 식량 안전과 주요 곡물-쌀의 공급과 가격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개별 농가와 그 단체로부터 논의 조달, 완충재배, 가공활동, 논·밀밥의 전략지소에의 분산, 주곡물 유통 등 다양한 활동과 전략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ar의
최근 몇 년 동안, 세계화와 국가 예산 적자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대응하여, 정부는 NFA의 특정 활동들을 합리화하거나 민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해왔다.
2014년 5월 5일, 165호 행정명령은 대통령 직속 식품안전 및 농업현대화 담당 보좌관이 신설한 직책에서 프랜시스 팡기린안에게 부여된 4개 기관에 대한 감독 책임을 지고 국가 식품공사와 그 밖의 3개 기관을 대통령 집무실로 재지정했다. 당시 오를란 칼라야그 NFA 행정관은 팡기린 총리가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를 NFA 총재에 임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 있는 사퇴라고 설명한 것을 사퇴했다.
2016년 7월 4일 NFA는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발행한 행정명령 1호에 따라 대통령 집무실에서 국무조정실로 재배치된 12개 기관 중 하나이다. 2018년 9월 발행된 행정명령 62호에 의해 필리핀 코코넛 당국, 비료 및 살충제 당국과 함께 농림부로 복원되었다.
The National Food Authority was created through Presidential Decree No. 4 dated September 26, 1972, under the name National Grains Authority (NGA) with the mission of promoting the integrate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grains industry covering rice, corn, feed grains and other grains like sorghum, mung beans, and peanuts. This decree abolished two agencies, namely, the Rice and Corn Board (RICOB) and the Rice and Corn Administration (RCA) and absorbed their respective functions into the NFA. The former was then regulating the rice and corn retail trade and was tasked to nationalize it within a target date. The latter was marketed and distributed government low-priced rice especially during lean months. In addition, the new agency was vested with additional functions aimed at developing post-harvest systems and processes.
Among others, the NGA supported the paddy production program of the government referred to as the Masagana’99 Program, which was geared toward rice self-sufficiency. It engaged in massive paddy procurement at government support prices, and with limited volume, the country joined the family of rice exporting countries from 1977 to 1981.
On January 14, 1981, Presidential Decree No. 1770 renamed the NGA and established the National Food Authority (NFA), further widening the agency’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commodity coverage to include, in addition to grains, other food items like raw 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and fish and marine, manufactured, processed, or packaged food products, and these we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non-grains commodities. This law was the basis of the Kadiwa stores or government retail stores, which sold low-priced basic food and household items which were established with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in all the provinces of the Philippines.
On May 31, 1985, Executive Order No. 1028 provided for the deregulation of NFA’s non-grains marketing activities, specifically terminating NFA’s non-grains trading activities, returning feed grains and wheat importation to the private sector, and lifting price controls on rice and corn. As such, at the end of 1986, all the Kadiwa Stores had sold or closed.
Today, the National Food Authority is charge with ensuring the food security of the country and the stability of supply and price of the staple grain-rice. It performs these function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strategies, which include procurement of paddy from individual farmers and their organizations, buffer stocking, processing activities, dispersal of paddy and milled rice to strategic locations and distribution of the staple grain to various marketing outlets at appropriate times of the year.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globalization and to the efforts to reduce the national budget deficit, the government has been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restructuring, streamlining or privatizing certain activities of the NFA.
On May 5, 2014, Executive Order No. 165 reassigned the National Food Authority and three other agencies to the Office of the President, with oversight responsibilities for the four agencies given to Francis Pangilinan in the newly created post of Presidential Assistant for Food Security and Agricultural Modernization. Then-NFA administrator Orlan Calayag stepped down in what he described as a "courtesy resignation" so that Pangilinan could appoint his own preferred candidate to head the NFA
On July 4, 2016, NFA was among the 12 agencies, formerly from the Office of the President reassigned to the Office of the Cabinet Secretary, based on Executive Order No. 1 issued by President Rodrigo Duterte. It was restored to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along with the Philippine Coconut Authority and the Fertilizer and Pesticide Authority, by Executive Order No. 62 issued in September 2018.
1972年9月26日付けの大統領令第4号を通じて,米,トウモロコシ,飼料穀物などの穀物産業,豆類産業の成長と発展を促進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国家穀類庁(NGA)が設立した。 この法令は,米トウモロコシ委員会(RICOB)と米トウモロコシ管理局(RCA)の二つの機関を廃止し,それぞれの機能をNFAに吸収した。 その後,前者は米とトウモロコシの小売取引を規制し,目標の日程内に国有化することを義務付けられました。 後者は,政府が特に低価格の米を低価格で販売し,流通させた。 さらに,新庁には,収穫後のシステムとプロセスの開発を目的とした機能が追加されました。
NGAは,コメの自給自足の"正花99年政府"という政府の水田生産計画を支援した。 1977年から1981年まで,米輸出国の家族に加盟し,政府支持価格での大量水田調達を行っていた。
1981年1月14日,大統領令第1770号がNGAの名称を変更し,国家食品局(NFA)を設立し,穀類や生鮮魚などの加工野菜に加えて,同庁の社会的責任と商品報道を拡大した。これらを総称して非穀物商品と呼ぶ。 同法は,首都圏内やフィリピン全土で作られた低価格の基礎食品や家庭用品などを販売した,香田店や政府小売店の基本法だ。
1985年5月31日,NFAの非穀物販売活動の規制緩和,特にNFAの非穀物取引業務の終了,飼料穀物や小麦の輸入規制の解除,民間部門への輸入規制などの命令No.1028が規定されている。 そのため,1986年末には,全ての加藤店は売却または閉鎖されていた。
今日,国家食品局は,国の食糧安全保障と,主力穀物の供給と価格の安定を保証しています。 個々の農家やその団体からの水田の調達,緩衝剤貯蔵,加工,戦略拠点への水田·精米散布,販売拠点への主穀物の適切な流通など,様々な活動や戦略を通じてこれらの機能を発揮している。ar
近年,政府は,グローバル化への対応や財政赤字削減の取組みなどを通じて,NFAのリストラ,合理化,民営化の可能性を検討している。
2014年5月5日,行政命令No.165が国食品庁と3つの庁を大統領執務室に再割り当てし,新たに創設された大統領補佐官としてフランシス·パンギランに与えられた4つの庁に対する監督責任がある。 その後,NFAのOrlan Calayagは,PangilinanがNFAの代表として自分の好きな候補者を任命できるように,彼が言うところの"非常勤辞任"に辞任した。
2016年7月4日,ロドリゴ·デュテ大統領の発行する大統領令第1号に基づき,NFAは大統領室から内閣官房に再任された12の機関の1つだった。 2018年9月に発行された大統領令第62号により,フィリピンのココナッツ·オーソリティーと肥料·農薬·農薬·農薬·医薬品各省に復活した。
필리핀의 생명처럼 귀중한 쌀을 직접 대통령의 기관으로 정하여 수출은 물론 국내 가격이 매우 낮다.
서민을 위한 국가 기관으로 새롭게 정착하여 신뢰를 높이고 있다.
As precious rice as life in the Philippines is directly designated by the president, domestic rice prices
as well as exports are very low. It has been newly established as a state institution for the common people to increase trust.
フィリピンの命のように貴重な米を直接大統領の機関として定め、輸出はもちろん国内価格が非常に低い。
庶民のための国家機関として新たに定着し、信頼を高めている。
국립식품 관리청은 이제 새롭게 변신하여 미래의 필리핀의 식품을 보장하는 것에 기대해 본다.
The National Food Authority now looks forward to a new transformation to ensuring future food in the Philippines.
国家食糧局は,フィリピンで将来の食糧を確保するための新たな変革を期待しています。
'All over of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5주년 팔라우 독립 기념일 전야제 (5) | 2019.10.14 |
---|---|
팔라우 펠레리우 전투 75주년 기념식 (0) | 2019.10.13 |
마닐라 힌두 사원 (7) | 2019.10.11 |
필리핀에 대한 느낌 (5) | 2019.10.10 |
마카티 페닌슐라 호텔 보석 (4) | 2019.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