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은 더 많은 것을 원한다.
좋은 집, 자동차, 여행, 물건 등 이러한 현상적인 것은
나이가 들면서 점점 물질의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는 간단한 생활을 하는 잡지사 편집장의 책이 베스트셀러
가 되어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으며 집안의 물건 정리하는 방법의
책들이 부지기수로 늘어나고 줄이고 정리 정돈하는 현상이 붐이다.
대개 사찰을 방문해보면 스님의 거처를 기억할 것이다.
아무것도 없는 빈 방, 간단한 쇼퍼나 의자만 있는 거실
군더더기 없는 비우는 것의 문화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옷과 장식, 신발, 그릇 등 모든 것을 채우고 모으는 것이
욕심이고 번뇌다. 이러한 것을 가득 채우고 자랑삼는
사람에게는 복잡한 번뇌가 끊이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간단한 생활을 하면 삶이 번거롭거나 복잡해지지않는다.
그러므로 작은 것부터 실천해보자.
꼭 필요하지도 않은 일에 돈을 쓰지 마라.
실제로 입고 있는 옷만 보관하고 나머지는 나눠준다.
지금보다 더 작은 집에서 살기
낡은 것이 깨졌을 때만 새것을 사라.
매우 쉬운 몇 가지를 추천한다.
안 쓰는 물건, 불필요한 물건들로부터 자유롭게
집안은 늘 빈 것처럼 공간의 여유를 주는 생활부터.
팁
전 세계 여행을 한 지인이 있다.
그는 한 번도 자신의 사진을 찍지 않는다.
왜냐고 물었다. 사진을 찍고 남기는 것도 아상이라는 말.
그래도 한 장이라도 장소에 간 기억이 필요하지 않나라고.
그에게서 여행은 마음에 사진이지 보이는 사진이 아니라는 것이다.
세계 각국을 다니는 대사들이나 외교관도 사진을 잘 찍지 않는다.
여행은 남에게 보이는 것이 아니며 매일 외국 여행이나 비즈니스 하는
사람들은 그 기록조차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불교에서는 아상, 인상, 수자상, 중생상이라는 말이 있다. 결국 비우려면
무엇이 먼저인지도 생각하게 되는 시간이다.
참고로
아상(我相)이란 자기라는 고집, 즉 자기가 제일이라는 모습.
인상(人相)이란 나와 남을 나누어서 보는 모습.
중생상(衆生相)이란 중생의 본능적 고집,
즉 재미있고 호감가는 것만을
본능적으로 취하는 모습.
수자상(壽者相)이란 생명에 대한 고집,
즉 영원한 수명을 누려야지 하는 모습.
모든 사람들은 자기는 늙지 않으리라는 생각
이것이 바로 욕심의 시작이라는 말이다.
- Don’t spend money on things you don’t really need.
- Only keep the clothes you actually wear and give away the rest.
- Live in a smaller home
- Only buy new things when old things break.
本当に必要なものにお金を費やさないでください。
実際に着ている服を守り、残りを捨てるだけです。
小さな家に住む
古いものが壊れたときにのみ新しいものを購入する。
'glimpse of the w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에 대한 단상 (11) | 2022.03.18 |
---|---|
요즘 회자되는 조지 오웰의 1984 (8) | 2022.03.09 |
다시 생각하는 아더 쇼펜하워의 심중 (8) | 2022.02.24 |
노던 아일랜드 풍경 (0) | 2022.02.13 |
역시 아일랜드는 책의 나라 (6) | 202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