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몰타 라 발레타 로터리 클럽에
성질 괴팍한 몰티즈 70대 여자가 있다.
누구에게나 매너가 없고 항상 성질을 부린다.
무슨 완장을 찼는데 레스토랑 예약 담당인가 뭔가.
마치 선생처럼 지시, 명령을 한다. 나도 몇 번 참았다.
라이온스에서도 그런 여자들이 몇 있다.
모임에 나와서 목소리 높인다. 지 잘난 맛에 사는 여자들.
이번에는 필자가 봉사하는 집 근처
가톨릭 교회에 의류 뱅크 봉사를 하다가 그만둔 여자
그녀는 남편과도 시간을 나누어 미사 봉사한다.
의류 뱅크에서 문제가 많았는지
파더 힐러리 신부님이 그만두게 했다.
매일 홈리스와 다투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상하게 미사는 매주 꼬박 참가한다.
그런데 이 여자는 매우 성격이 네거티브하며
누구에게도 인사는 커녕 얼굴을 찡그린다.
인상 팍팍 쓰며 사람을 보아도 아는 척도 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필자를 싫어해서
그런가 했는데 모든 이들에게 다 그런다고 한다.
나이가 든 여성들이며 대부분 70세 전후다.
성격이 정말로 비뚤어진 타입들인데
자신이 어떤 모습인지 모르나 보다.
사람을 불쾌하게 만드는 타입들이다.
지난 번 캐나디언 리플리 증후군을 끊으니
이번에는 러시아 나르시즘 할머니가 회원이다.
잘난 척에 말이 너무나 많다. 주절주절.
필자는 매일 이런 자들 사이에서 고전한다.
성격 장애는 나이가 들면서 악화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65세 이상 노인의 10%-20%가 성격 장애를 앓고 있어
유병률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노인 심리학자 Erlene Rosowsky, PsyD는 말한다.
일반적으로 성격 장애는 노년기에 처음 나타나지 않는다.
성격 장애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이며 만연한 지속적인 행동 패턴이며,
사회적 기대에서 현저하게 벗어난 행동을 만들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손상을 일으킨다. 어떤 경우에는 성격 장애가 역할과
관계가 표현을 억제하는 중년 동안 비교적 조용한 단계를 거친 후
나이가 들면서 다시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서 악화되기 쉬운 성격 장애에는 편집증, 정신분열성, 분열형,
강박적, 경계선, 히스테리성, 자기애적, 회피적, 의존성 등이 있다고
로소프스키 박사는 미국 노화 협회가 후원한 회의에서 말했다.
특정 장애는 특정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반응으로 악화되기 특히 쉽다.
예를 들어, 치료를 위해 낯선 사람에게 의존하는 것은 편집증, 분열성,
분열형 및 회피성 성격 장애를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매력의 상실은 히스테리성 장애, 자기애성 장애,
경계선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문제가 된다.
성격 장애를 구성하는 행동은 본질적으로 병리적인 것이 아니다.
이러한 특성은 누구나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격 특성은
극단적으로 나타나 기능 장애와 부적응 상태가 될 때 장애가 된다.
보스턴 하버드 의과대학의 정신의학과 소속인 로소프스키 박사는
이것이 단순히 사람이 정상이거나 무질서한
이중 모드 상태가 아니라고 말했다.
성격 특성의 표현에는 등급과 뉘앙스가 있으며 그 적절성에는 등급이 있다.
성격 장애가 있는 노인 환자를 평가할 때,
간병인은 환자가 치료할 수 있는 것과 달성 가능한 목표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상호 의존성을 허용하고, 변화를 수용하고,
건강한 나르시시즘을 지원하기 위해
환자를 존중하고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신체 치료는 종종 동반 질환 정신 질환에 대해 사용되며,
성격 장애도 있는 경우 덜 효과적일 수 있다.
효과적인 중재는 혼란스러운 관계의 역사나 법률 제도의 문제와 같은
성격 장애를 암시하는 환자의 과거로부터의 단서를 가지고 개발된다.
중재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가능한 가장 작은 변화를 만들도록 설계되었다.
성격 장애를 성공적으로 치료한 특정 유형의 치료에는
인지 행동, 대인 관계 및 변증법적 치료가 포함된다.
성격 장애는 치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 장애는 치매로 인한 기억 상실에 적응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사회적 피드백에 반응할 수 있다.
치매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도
성격 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매는 무관심과 위축을 가져오며,
종종 인격 장애와 상호 작용하는 환자의 감정을 거칠게 만든다.
비고
얼굴도 쭈그렁 방탱이 노친네가 성질까지 더러운 여자 마녀
곳곳에 포진하고 있으며 이들이 왜 사는지 긍금하기까지 하다.
가까이 접근하지 않아도 너무나 쉽게 피해를 본다.
블로그에도 많이 있다. 다만 블로그는 차단하면 쉽다.
글로도 괜히 심술부리고 꼬투리 잡는 이상한 성격들 있다.
자기 글에 늘 칭찬만 하라는 뜻인지. 뭐라하면 파르르
사실 글쓰기가 무서워지는 블로그
뭔 자랑질에 가족 이야기 댓글 달 것도 없다 사실은.
그런 자들이 나이가 들면 더 심각해지는 것이 아닌가 싶다.
허구한 날 만나야 하는 마녀들 때문에 괴로운 날도 있다.
물론 남자 도깨비도 많은데 필자는 그런 자들과 인연이 드물다.
Personality disorders may appear to worsen with age,
although the prevalence remains stable with 10%–20% of people age
65 or older having a personality disorder,
according to geropsychologist Erlene Rosowsky, PsyD.
Personality disorders do not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old age. A personality disorder is an enduring pattern of
behavior that is stable, of long duration, and pervasive,
and causes clinically significant impairment by producing behavior
that markedly deviates from social expectations. In some cases,
personality disorders reappear with age after
a comparatively quiescent phase during mid-life
when roles and relationships keep their expression contained.
Personality disorders that are susceptible to worsening
with age include paranoid, schizoid,
schizotypal, obsessive-compulsive, borderline, histrionic, narcissistic,
avoidant, and dependent,
Dr. Rosowsky said at a conference sponsored by the American Society on Aging.
Certain disorders are especially susceptible to worsening in response
to specific stressors. For example, reliance on strangers for care poses a risk
for exacerbating paranoid, schizoid, schizotypal,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s.
Loss of attractiveness is a problem for people with histrionic, narcissistic,
or borderline disorders.
The behaviors that makeup personality disorders are not inherently pathologic.
Anyone can possess these traits. However, personality traits become
disorders when they manifest to an extreme and become dysfunctional and maladaptive.
Dr. Rosowsky, who also is affiliated with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at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said this is not simply a bimodal condition,
in which a person is either normal or disordered. There are gradations
and nuances in the expression of the personality trait,
and there are gradations in its appropriateness.
When assessing an elderly patient with a personality disorder,
the caregiver should identify what's treatable and what is
an achievable goal that the patient agrees to work toward.
Treatment should be respectful and relevant to the patient to produce symptom relief,
allow interdependence, accommodate change, and support healthy narcissism.
Somatic treatment is often indicated for co-morbid psychiatric conditions
and may be less effective when a personality disorder is also present.
Effective interventions are developed with clues from the patient's past
that suggest a personality disorder, such as a history of chaotic relationships
or troubles with the legal system. Interventions are designed to make the
change possible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Specific types of therapy
that have successfully treated personality disorders include cognitive-behavioral,
interpersonal, and dialectical.
Personality disorder can interact with dementia. The disorder
may adapt to the memory loss of dementia
and may respond to negative societal feedback.
Drugs used to slow the progress of dementia also may affect a personality disorder.
Dementia brings apathy and withdrawal and often coarsens
the patient's affect, which interacts with the personality disorder.
フィラデルフィア - パーソナリティ障害は、
年齢とともに悪化するように見えることがありますが、
有病率は安定しており、65歳以上の人々の10%〜20%が
パーソナリティ障害を持っていると、
老年心理学者のアーリーン・ロソウスキー、PsyDによると。
一般に、人格障害は老年期に初めて現れ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
パーソナリティ障害は、安定しており、
長期間、広範囲にわたる永続的な行動パターンであり、
社会的期待から著しく逸脱した行動を生み出すことにより、
臨床的に重大な障害を引き起こします。場合によっては
パーソナリティ障害は、役割と関係が彼らの表現を封じ込めておく
中年期の比較的静止した段階の後、年齢とともに再発します。
年齢とともに悪化しやすいパーソナリティ障害には、妄想性、
統合失調症、統合失調症、強迫性、境界性、演技性、自己愛性、
回避性、依存性などがあります、
とロソウスキー博士は米国老化学会が主催する会議で述べました。
特定の障害は、特定のストレッサーに反応して特に悪化しやすいです。
例えば、見知らぬ人に介護を頼ると、妄想性、統合失調症、
統合失調型、回避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を悪化させるリスクがあります。
魅力の喪失は、演技性障害、自己愛性障害、
または境界性障害を持つ人々にとって問題です。
パーソナリティ障害を構成する行動は、本質的に病的なものではありません。
これらの特性は誰でも持つことができます。
しかし、性格特性は、極端に現れ、機能不全や不適応になると障害になります。
ボストンのハーバード大学医学部の精神科にも所属しているロソウスキー博士は、
これは単に人が正常または無秩序である二峰性の状態ではないと述べました。
性格特性の表現にはグラデーションやニュアンスがあり、
その適切さにはグラデーションがあります。
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ある高齢患者を評価するとき、介護者は
、患者が取り組むことに同意する達成可能な目標と、
治療可能なものを特定する必要があります。
治療は、症状の緩和を生み出し、相互依存を許容し、
変化に対応し、健康なナルシシズムをサポートするために、患者を尊重し、
関連性のあるものでなければなりません。身体治療は、
併存する精神疾患に適応されることが多く、
パーソナリティ障害も存在する場合は効果が低下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効果的な介入は、患者の過去からの手がかりから、
混沌とした関係の履歴や法制度の問題など、
人格障害を示唆する手がかりを使用して開発されます。
介入は、望ましい結果を達成するために可能な限り最小限の変更を
行うように設計されています。
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治療に成功した特定の種類の治療法には、
認知行動療法、対人関係療法、弁証法的療法などがあります。